그날의 JW 1983.03.07 중외제약 본사 강남 이전 중외제약은 1983년 3월 7일 하월곡동 사옥에서 강남 기남빌딩으로 본사를 이전했다. 기남빌딩은 1986년 11월 신대방동 사옥이 완공되기 전까지 본사로 사용됐다. 2015.03.04 JW홀딩스, 사우디아라비아 SPC社와 수액제 공장 건설 위한 MOU 체결 JW홀딩스는 2015년 3월 4일 사우디아라비아 제약기업인 SPC社와 1억 5천만불 규모의 <턴키방식 수액제 공장 건설 양해각서 (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 체결은 일반적인 의약품 수출을 넘어, 순수 국내 기술로 해외에 수액제 생산을 위한 플랜트를 건설한다는 점에서 국내 제약 산업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2014.03 JW크레아젠, CreaVax-HCC 임상 3상 IND 승인 JW크레아젠은 2014년 3월 CreaVax-HCC가 임상 3상을 승인을 받으며 간암 치료제 개발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했다. 2017년 국제학술지(Oncoimmunology)를 통해 발표된 CreaVax-HCC 임상 2상 결과에서는 중대한 부작용 없이 간암 환자의 재발률을 크게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우수한 기술력을 세계적으로 입증 받았다. 2011.03.17 국내 최초 LED 무영등 유럽 CE 인증 획득 JW메디칼은 2011년 3월 17일 LED 무영등 허니룩스 LED의 유럽 CE 인증을 획득했다.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된 LED 무영등이 유럽 시장에서 공식 인증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CE인증을 통해 허니룩스 LED의 우수한 품질과 성능을 입증받았다. 2005.03.09 중외제약 브라질 바이오키미코 社와 이미페넴 퍼스트 제네릭 원료 기술 수출 계약 중외제약은 2005년 3월 9일 브라질 바이오키미코 社와 이미페넴 퍼스트 제네릭 원료 기술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앞서 2004년 중외제약은 그간 합성 난이도가 높아 아무도 성공하지 못했던 항생제 이미페넴의 퍼스트 제네릭 '프리페넴'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2004.03.02 일본 마루코 社와 '이트라코나졸' 라이선스 및 원료 수출 계약 중외제약은 2004년 3월 2일 일본 마루코 社와 항진균제 '이트라코나졸' 라이선스 및 원료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중외제약은 지속적인 연구로 이트라코나졸의 난용성을 개선해 안정성과 생체 이용률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1979.03.28 중외기계(현 JW메디칼) 공장 기공식 1977년 설립된 중외기계(현 JW메디칼)는 사세 확장에 발맞추기 위해 중외제약 병점공장 부지 내에 신 공장을 건설했다. 기공식은 1979년 3월 28일 이종호 사장, 당시 중외기계 이성훈 사장 등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1975.03.11 이종호 사장, 대한중외제약 대표이사 취임 대한중외제약은 1975년 3월 11일 이종호 전무이사를 대표이사 사장으로 선임했다. 취임 직후 이종호 사장은 故 성천 이기석 선생의 갑작스런 타계로 어수선한 분위기를 수습하고 상·하반기 성장계획을 수립하는 등 회사를 정상화하는 데 총력을 다했다. 1974.03 「5%과당주」일본 수출 대한중외제약은 1974년 3월 기초수액제 '5%과당주'를 쥬가이 제약 社를 통해 일본 시장에 선보였다. 당시 의약품 선진국인 일본에 주사제 완제품을 수출했다는 것은 회사가 치료제 전문업체로 국제적 인정을 받게 됨을 의미했다. 중외제약 본사 강남 이전 JW홀딩스, 사우디아라비아 SPC社와 수액제 공장 건설 위한 MOU 체결 JW크레아젠, CreaVax-HCC 임상 3상 IND 승인 국내 최초 LED 무영등 유럽 CE 인증 획득 2005.03.09 중외제약 브라질 바이오키미코 社와 이미페넴 퍼스트 제네릭 원료 기술 수출 계약 일본 마루코 社와 '이트라코나졸' 라이선스 및 원료 수출 계약 중외기계(현 JW메디칼) 공장 기공식 이종호 사장, 대한중외제약 대표이사 취임 「5%과당주」일본 수출 목록 인기글 제품검색 글·뉴스 검색 검색 검색 #프렌즈아이드롭 #악템라 #하이맘밴드 #위너프 검색 검색 #메디칼 #인사이트 #신기술 #검진